반응형

덴마크가 위치한 유틀란트 반도 끝에 스카겐(Skagen)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Skagen은 덴마크의 최북단 도시로, 북부 Jutland 반도의 Skagen Odde 반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도시는 Frederikshavn 지방 자치단체에 속하며, 매년 약 200만 명의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활발한 관광 산업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Skagen의 낮은 노란색 집들과 빨간 지붕이 돋보이는 경치가 매력적입니다. 또한, 철새 관찰가들에게 인기가 있어, 외부에서 오는 많은 조류 관찰자들이 이 지역을 방문합니다. 이 지역의 생태계는 바다에 둘러싸여 었어 다양한 조류 종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Skagen 은 중세 시대에 어촌으로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19세기 중반 이후부터 덴마크와 노르웨이, 스웨덴 화가들의 모여서 이 곳 풍경과 사람들의 모습을 주제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오늘날 스카겐파( Skagen School)라고 불리는 화가들의 모임이 탄생했는데, 이들의 작품은 파리를 중심으로 활동한 화가들과는 또 다른 느낌이 있습니다. 그들 중에서 비고 요한센(Viggo Johansen, 1851-1935)의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Happy Christmas, 1891, wikipedia

 

 

 

 

 

덴마크의 풍경화가와 인물화가로 잘 알려진 작가의 대표작 중 하나입니다. 이 작품은 크리스마스이브에 가족이 함께 캐럴을 부르는 장면을 담고 있습니다. 당시의 따뜻한 가족 전통을 잘 나타내는 그림이고요.   그림은 어두운 방안에 위치한 크리스마스트리를 중심으로 가족들이 모여 있는 모습입니다. 촛불로 장식된 나무가 방 안에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화가는 작가의 가족을 중심으로 크리스마스의 따뜻함을 표현하였고, 방 안의 유일한 빛은 크리스마스트리의 많은 양초로부터 나옵니다. 이는 소비주의보다 전통적이고 가정적인 크리스마스를 강조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작품은 집안의 아늑한 분위기를 잘 전달하며, 가족과의 소중한 순간을 기념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19세기 후반, 크리스마스가 가족 중심의 축제로 자리 잡아가는 시기와 맞물려, 요한센은 사람들이 선물의 수혜를 넘어 가족과의 교류를 소중히 여기는 모습을 강조했습니다. 이 회화는 전통적인 크리스마스 축제를 생생하게 드러내며, 관람객으로 하여금 따뜻한 감정을 불러일으킵니다.

 

 

 

 

그는 빛을 중시하는 리얼리즘 양식을  채택하며, 가족과 친구들을 주제로  한 따뜻하면서도 어두운 실내 이미지를 주로 그렸습니다. 특히, 그의 작업은 프랑스 화가 클로드 모네(Claude Monet, 1840-1926)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색채 사용에서도 드러납니다. 크리스마스 시즌 동안, 가족들은 특별한 만찬과 함께 노래와 게임으로 시간을 보내는 것이 표준이었습니다. 크리스마스 트리에 장식된 홀리와 상록수는 당시의 전통을 반영합니다. 많은 가정에서 전통적인 장식보다는 호화로운 선물에 초점을 맞추지 않았던 시절이었으며, 요한센의 이 그림은 그러한 시대의 소중한 기억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단순한 크리스마스 장면을 넘어, 가족과 전통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의미 있는 작품으로 여겨집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MSvsP3VIME

 

 

 

 

클로드 모네는 프랑스의 인상주의 화가로, '인상주의의 아버지'라고 불립니다. 이 미술 사조의 창시자이자 개척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빛과 색채의 변화를 중요시하는 방식으로 자연 풍경과 순간적인 인상을 캔버스에 담아낸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1874년 첫 인상파 전람회를 개최하였고, 그때 그의 작품 '인상, 해돋이'가 비평가로부터 조롱받으면서 '인상주의'라는 명칭이 붙여지게 되었습니다. 

모네는 전통적인 회화 기법을 거부하고, 빛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포착하는 방식으로 작품을 제작했습니다. 그는 자연의 색과 형태를 순간적으로 담기 위해 야외에서 그림을 그리며, 그 결과물은 풍경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었습니다. 그의 예술적 스타일은 특히 색채의 질감을 중점을 두고 자연을 묘사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는 '수련 ' 연작입니다. 

 

Bridge over a Pond of Water Lilies,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by Claude Monet/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youtube.com/watch?v=jBT5dybMKyw

 

 

 

Copenhagen/위키원

 

 

 

요한센은  덴마크의 코펜하겐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려서부터 드로잉에 뛰어난 재주를 보였고 열일곱 살이던 1868년, 코펜하겐이 있는 왕립 덴마크 미술 아카데미에 입학합니다. 학교에서는 주로 인물화를 공부했다고 하는데, 1872년부터 그는 스카겐 근처의 혼백이라는 곳에서 주로 풍경화와 풍속화를 그렸습니다.

 

 

 


 

 

 

The Dead Child,1881/ MutualArt

 

 

 

 

 

 

마치 편하게 잠을 자고 있는 것 같은데, 아이의 두 손을 가슴에 올려놓았습니다. 붉은 입술도 그대로이고 손을 대면 따뜻한 온기가 느껴질 것  같은 아이의 두 눈이 굳게 감겼습니다. 제목을 보니 죽은 아이입니다. 

 

 

 

 

 


 

 

Kitchen interior,1884/Flickr

 

 

 

 

이 작품은 그의 아내가 꽃을 정리하는 장면을 담고 있습니다. 덴마크의 Skagen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지요. 비교적 따뜻하고 어두운 조명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면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Viggo Johansen (1851-1935)는 Skagen화가 그룹의 일원으로 , 주로 덴마크의 북부 어촌 마을에서 활동했습니다. 그는 현실주의 스타일의 그림을 선보였으며, 주변 환경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이 작품은 요한센의 예술적 특성을 많이 반영하고 있습니다. 그는 낮은 조명을 사용하여 따뜻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했으며, 이로 인해 관람자는 그림 속 정서와 상황에 쉽게 몰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는 인물의 자세와 표정을 통해 일상 속 소소한 순간을 중시하고 표현하려 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691pGu-PGk

 

 

Aerial view of the Skagen Odde peninsula in the far north of Jutland, from the southwest of Skagen/wikipedia

 

 

Skagen /Pin Page

 

 

 

Skagen 화파는 덴마크의 유명한 예술가들이 모여 화가로서의 활동을 한 집단입니다. 주로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 활동한 여러 화가들로 구성된 예술 공동체를 의미합니다. 이 그룹은 덴마크 북부의 스카겐 지역에서 여름마다 모여 작품을 교류하고 영감을 주고받았습니다. 

Skagen 화파는 주로 자연과 인간의 생활을 묘사하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들은 빛과 색을 탐구하며, 특히 스카겐의 특유의 자연환경과 빛을 화폭에 담았습니다. 이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프랑스 인상파 화풍으로, 그들의 작품은 일반적으로 생생한 색상과 생동감 넘치는 표현이 특징입니다. 

Skagen 화파는 덴마크 현대 미술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습니다. 이들은 특히 프랑스 인상주의 작가들처럼 자연을 직접 관찰하고 그린 점에서 차별화되었습니다. 이들의 작품은 덴마크 예술계에서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도 많은 이들이 그들의 작품을 통해 스카겐 지역의 풍경과 문화를 알 수 있습니다. 

 

 

 

 

 

 


 

Children Painting Spring Flowers, 1894/Wikimedia Commons

 

 

 

 

 

탁자 위에 꽃이 담긴 화병이 놓여 있고 그 둘레에 모여 아이들이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나이는 조금씩 다르게 보이지만 꽃을 그리는 자세는 모두 신중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특히 정면으로 보이는 소녀의 눈에는 빛이 뿜어져 나오는 것 같습니다. 가장 나이가 어려 보이는 아이는 고개를 숙인 채  작은 붓으로 섬세하게 칠을 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을 보다 보니 아이들이 꽃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섬세한 붓 터치와 풍부한 색 팔레트를 사용하여 실제적인 꽃의 섬세함과 어린이들의 즐거움을 시각적으로 전달합니다. 이 작품은 스카겐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2008년 소더비에서 경매에 출품된 뒤 이곳에 소장되었습니다. 또한, 1895년 찰롯텐보르크에서 열린 전시회에 출품되었으며, 이 당시에도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P5lPPBvWEg

 

 

 

 

 

 

 

요한센은  1875년, 아카데미를 그만둡니다. 졸업을 하지 않았다고 표현한 이유는 졸업시험을 통과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예술가에게 자격증이 꼭 필요한가 싶지만 통과하지 못한 이유가 궁금합기는 합니다. 아카데미에서 사귄 친구 중 마카엘 앙케가 있는데, 이 친구가 그 해 여름을 스카겐에서 보내자고 권유합니다. 그리고 그 역시 요한센처럼 아카데미 졸업 시험을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미카엘 앙케르 Michael Ancher, Skagens Museum/wikipedia

 

 

 

Michael Ancher(1849-1927)는 덴마크의 사실주의 화가로, 그는 주로 스켄의 어부들과 북해의 풍경을 담은 그림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발트해의 Bornholm 섬에 있는 Rutsker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가 상인으로서의 힘든 경제적 상황으로 인해 그는 중등 교육을 완전히 이수하지 못했지만, 어릴 적부터 그림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1871년 왕립 덴마크 미술 아카데미에 입학했으나, 1875년에 졸업하지 않고 중퇴했습니다.  

Ancher의 예술적 경향은 사실주의와 고전적인 구성 요소의 조화를 이루며, 특히 "해양"과 "어부"를 주제로 한 작품들이 유명합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Lifeboat is Carried Through The Dunes"(1883)과 "The Crew Are Saved"(1894)등이 있습니다. 또한 , 그의 집과 스튜디오는 오늘날 Ankers Hus라는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개인적인 유물들이 보존되고 있습니다. 

 

 

 

 

A Stroll on the beach by Michael Ancher, 1896/ Wikimedia Commons

 

 

 

 

 

스카겐에 위치한 아나 앙케르- 미카엘 앙케르 부부의 저택/위키백과

 

 

 

 

아나와 미카엘 엥케르(1997-1999, 3차 )/위키백과

 

 

 

 

The Royal Library, Denmark, Anna Ancher, 1933/wikipedia

 

 

Anna Ancher(1859-1935)는 덴마크의 화가로, 스카겐 화가들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명입니다. 그녀는 색채와 빛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데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일상생활에서의 간단한 주제를 즐게 그렸습니다. 그녀의 아버지는 브론돔 호텔을 운영했습니다. 그녀는 코펜하겐에 있는 빌헬름 키른 미술학교에서 3년 동안 그림을 공부한 후, 파리에서 피에르 뽈 비비앙의 아틀리에도 수학했습니다. 이러한 교육은 그녀가 독특한 화풍을 개발하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그녀는 스카겐 화가들의 협회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그녀의 작품은 자연광과 색채의 상호작용을 중시했습니다. 그녀의 가정과 단순한 일상생활을 주제로 한 그림을 주로 그렸으며, 종종 여성, 어부, 어린이 등의 일반 시민을 묘사하였습니다. 그녀의 대표작 중 하나인 "파란 방의 햇빛"은 빛의 표현에 대한 그녀의 탐구를 잘 보여줍니다. 

그녀는 "여자의 기도 Evening Prayer)을 포함한 여러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그녀의 예술은 덴마크의 현대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녀는 1893년 시카고 세계 박람회에서 작품을 전시하였으며, 여러 차례 상을 수상했습니다. 그녀는 2004년 발행된 덴마크 천 크로네 지폐의 전면에 남편과 함께 그려지기도 했습니다. 

그녀의 작품은 여전히 많은 미술관에 전시되고 있으며, 그녀와 남편이 거주했던 집은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녀는 덴마크에서 가장 위대한 시각 예술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여성 화가로서의 입지를 확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Sunlight the Blue Room, 1891/wikipedia

 

 

 

 

 

 

 


 

 

 

 

 

Evening Talk, 1886/wikipedia

 

 

 

 

비고 요한슨은 덴마크의 스카겐 화파의 일원으로, 이 그룹에서 동료 예술가들과의 친목을 중요시했습니다. 이 그림은 그러한 저녁의 온기를 담아내며, 화가의 기술이 돋보이는 회화입니다.  요한센은 또한 음악에도 조예가 깊어, 회화뿐만 아니라 피아노와 오르간 연주도 즐겼습니다.  이 그림은 따뜻한 조명 아랫사람들이 모여 대화하고 있는 장면을 그려냅니다.

 

 

작품의 오른쪽에는 피아노가 있고 , 이는 요한센이 음악을 사랑했음을 암시합니다. 테이블 위에는 식사가 놓여 있으며, 작품 곳곳에 반사된 빛이 생동감을 더합니다. 사람들의 표정이나 자세도 자연스럽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요한센을 대칭적 구성을 사용하여 관람객의 시선을 효과적으로 끌어들입니다. 특히 크고 작은 명암의 대비가 두드러져, 그림 속 캐릭터들이 실제로 대화하는 듯한 친근함을 자아냅니다. 이러한 세심한 조명과 색채 사용은 스카겐 화파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bZpYcNvbXc

 

 

 

 

 

 

 

 

My Friends, 1887, Phildelphia Museum of Art/Superstock

 

 

 

 

New Year's Eve with Friends/Vinde Vie wind of Life

 

 

 

 

 

이 작품은 친구들과의 관계를 나타내며, 예술가들의 우정을 기념하는 의미를 지닙니다. 작품은 필라델피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해당 미술관의 제259 갤러리에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

 

 

 

 

저녁 식사가 끝나고 느긋하게 이야기 판이 이어졌습니다. 은은한 빛을 내뿜는 등이 자리를 잡고 있는 실내는 어둡다기보다는 아늑합니다. 이야기를 하는 사람도, 이야기를 듣는 사람도 편안해 보입니다. 오른쪽 어둠 속에도 두 남자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습니다. 요한센의 집에 모인 화가, 비평가 그리고 친구들의 나지막한 이야기가 방안의 어둠을 조금씩 밀어내고 있습니다.

 

 

 

 

 

이 그림은 요한슨이 당시의 예술적 환경에서 친구들과의 관계를 포착하고, 그들과의 연대감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입니다. 특히, 그는 동시대 예술가들과의 친분을 통해 예술 공동체의 상징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뛰어난 색상과 명암의 사용이 돋보입니다. 요한슨은 인물들의 표정을 통해 그들의 감정과 성격을 잘 표현하고 있으며 , 이는 작품의 깊이를 더욱 더해줍니다. 

 

 

 

 

 

 

 

 

An evening with visiting friends (Meine freunde abends beimir0, 1897, Bavarian State Paintings Collections /wikimedia commons

 

 

 

 

 

 

 


 

Christian Bindslevis III, 1889/wikipedia

 

 

 

 

 

 

인물화입니다. 그의 동료 화가 Christian Bindslev의 병든 상태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두드러진 조명 효과와 함께 인물의 표정과 감정을 섬세하게 포착하고 있어, 관찰자가 인물의 감정에 쉽게 공감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요한슨의 작품은 또한 그가 파리에서 받은 영향을 반영하여, 색상의 사용에서 변화가 뚜렷합니다.

 

 

 

 

 

요한슨은 자신의 작품에서 조명을 독창적으로 사용하여 화사한 느낌을 주었습니다.  검은색의 사용을 줄이고, 대신 부드러운 색조의 채택을 통해 생명력 있는 효과를 실현했습니다. 이 기법은 그의 다른 작품에도 널리 적용되었으나, "Christian Brindslev is III"에서 특히 두드러집니다.

 

 

 

 

이 작품은 덴마크에서 큰 사랑을 받으며, 요한슨을 당대의 주요 화가로 자리 잡게 해 주었습니다. 그는 1889년 파리에서 열린 만국박람회에서 금메달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그의 예술성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요한슨의 작품은 단순한 인물화에 그치지 않고, 그 시대의 사회적 맥락까지 담고 있어 많은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1875년부터 요한센은 스카겐을 그림에 담기 시작합니다. 다소 거칠고 황량한 풍경 그리고 외부 사람들에 대해서 쉽게 마음을 열지 않는 그곳 주민들이 요한센에게 그다지 매력적이지는 않았지만 그는 이곳에서 미래의 아내가 되는 여인을 만납니다. 상대는 그가 그림 지도를 하던 안나 앙케의 사촌인 마르타였습니다. 

 

 

 

1880년, 스물아홉 살이 되던 해에 요한센은 마르타와  스카겐에 있는 교회에서 결혼식을 올립니다. 마르타가 열아홉 살이 될 때까지 어떻게 참았나 싶습니다. 둘 사이에는 여러 명의 아이가 있었는데 엘렌이라는 딸이 나중에 화가가 되지요. 1885년부터 요한센은 자신의 작품을 파리에서  전시하기 시작합니다. 

 

 

 

 

 

Martha Moller, 1890/wikimedia commons

 

 

 

 

 

요한센의 아내 마르타 묄러의 초상화입니다. 참 단아한 얼굴입니다. 요한센이 아카데미에서 초상화를 중점적으로로 배웠다는 것을 떠 올리면 이 작품 속 그녀의 얼굴이 생생한 이유가 이해됩니다. 요한센은 호텔에 있는 피아노로 모차르트를 , 교회에 있는 오르간으로는 글루크를 연주했다고 하니까 음악에도 관심이 많았던 남자였습니다.  두 사람이 꽤 많은 아이를 낳았다는 것을 보면 천생연분인 모양입니다.

 

 

 

초상화 속에서 마르타의 모습은 부드러운 조명과 따뜻한 색조로 그려져 있습니다. 요한슨은 조명을 강조하는 독특한 기법을 사용하여, 마르타의 피부와 의상의 질감을 섬세하게 묘사했습니다. 그가 프랑스의 인상파 화가들, 특히 클로드 모네의 색 사용에서 영감을 받아 가벼운 색조로 재해석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요한슨의 작품은 그의 다른 그림들과 함께, 특히 가정적인 주제를 다루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가정의 따뜻한 분위기를 전달하며, 그의 독특한 화풍이 잘 드러난 작품입니다. 마르타 뫼러는 그의 작품에서 자주 모델로 등장하며, 가정과 일상의 아름다움을 표현했습니다. 

 

 


 

 

 

 

 

Bornene vaskes,1888/BoldBrush

 

 

 

 

 

어디서 많이 본 듯한 장면입니다. 화면이 장난기 어린아이들의 에너지로 꽉 차있습니다. 자녀를 목욕시키는 어머니의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따뜻한 난롯불 곁에 아이들의 재잘거림과 부지런한 엄마의 손놀림이 방안을 가득 채우는 것 같습니다. 인상파의 영향을 받아 생활과 감정을 세밀하게 표현했습니다. 그가 특히 가족과 일상적인 활동을 주제로 한 작품 중 하나로, 가정생활의 따뜻함과 더불어 부모와 자녀 간의 애정을 잘 담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당시 사회에서 아동이 차지하는 중요성과 가정의 소중함을 강조합니다. 인상파적 요소는 부드러운 붓터치와 자연광의 사용에서 드러납니다. 그는 색상의 변화를 통해 감정을 전달하며, 특히 그의 인물화에서는 인물의 표정과 움직임이 잘 포착되어 있습니다. 서로의 관계를 나타내는 섬세한 손길이 인상적입니다.

 

 

 

단순한 가족의 모습을 넘어서, 어머니와 자녀 간의 깊은 유대감을 상징합니다 그림 속 아이의 순수함과 어머니의 사랑이 함께 어우러져, 가정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떠오르게 합니다.

 

 

 

 


 

 

 

 

By the Piano, 1891/Pinterest

 

 

 

 

 

작가의 아내와 아이들이 피아노 곁에서 함께하는 따뜻한 가정적인 순간을 포착하고 있습니다. 풍부한 감정을 전달하는 이 그림은 요한슨의 서정적인 화풍과 밝은 상징성을 잘 보여줍니다. 따듯하고 부드러운 색채와 가족의 내밀한 순간을 그리는 데 주력하였습니다. 가족 구성원이 함께하는 일상적인 행복을 담고 있으며, 고요하고 아늑한 분위기로 관람객에게 친밀감을 줍니다.

 

 

 

 

그는 주로 조명 효과와 색상의 배합을 통해 생명의 기운을 표현하였습니다. 이 작품에서도 그가 사용한 짙은 톤과 함께 부드러운 광선이 가정의 따뜻함을 비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관람객은 작품 속 인물들의 감정을 직접 느낄 수 있습니다.  요한슨이 그린 여러 가정적인 장면 중 하나입니다.

 

 

 

그의 다른 유명한 작품처럼, 이 그림은 그가 가족과 함께 하는 순간을 어떻게 세심하게 다루었는지를 보여줍니다. 단순하면서도 깊은 인상으로 가득 찬 이 작품은 그의 예술적 가치와 덴마크 화가로서의 위치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작품은 강한 인간미와 정서를 전달하며, 보는 이로 하여금 그 순간에 함께 있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단순한 정경을 넘어서, 가족의 따뜻한 유대와 음악의 힘을 전달하는 감동적인 작품입니다. 이를 통해 그는 덴마크 화단에서 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입증하였습니다. 

 

 

 

 

Mother must Read, the Artist's Wife and Child, 1893/Meister Drucke

 

 

 

 

 

 

자기와 놀아 주어야 할 엄마가 책만 보고 있어서 짜증이 난 걸까요? 엄마가 책을 읽는데 아이가 엄마 무릎에 몸을 기댔습니다. 왼쪽에서 들어온 빛이 약간은 난감한 엄마 얼굴에 그늘을 만들었지만 그런 엄마를 바라보는 아이의 얼굴을 환하게 비추고 있습니다. 엄마가 이제 책을 덮고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줄 차례입니다. 파리 전시회에 참여하면서 요한센은 파리의 화가들, 특히 모네의 색을 사용법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됩니다. 한편으로는 같은 스카겐에서 활동했던 노르웨이 화가 크리스티안 크로그의 작품도 그에게 영향을 주었습니다. 요한센은 자신의 작품에 다른 화가들의 작품에 비해 어두운 색을 많이 쓰였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그의 작품에는 변화가 찾아옵니다. 

 

 

크리스티안 크로그(Christian Krohg, 1852-1880)는 덴마크의 저명한 화가이자 소설가로, 상징과 주제를 통합한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예술뿐만 아니라 언론과 교육에서도 활동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기여한 인물입니다. 그는 덴마크 왕립미술아카데미에서 교육을 받았고, 기초적인 화법과 예술 이론을 배웠습니다. 이러한 학습 경험은 그가 이후 다채로운 스타일로 발전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그는 주로 사실적인 스타일로 유명합니다. 그의 작품에는 상징주의와 인상주의의 요소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는 인물화뿐만 아니라 풍경화와 정물화에서도 뛰어난 실력을 뽐냈습니다. 그이 작품은 감정적인 깊이와 함께 복잡한 심리적 상황을 드러내곤 합니다. 

그는 소설가로서도 활동했으며, 그의 문학 작품은 종종 인간 본성과 사회 문제를 탐구합니다. 이러한 작품들은 그가 예술가로서의 관점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의 문학적 시도는 예술과 글쓰기의 경계를 허물며 새로운 표현 방식을 제시했습니다. 

 

Sick Girl by Christian Krohg/wikimedia commons

 

 

 

 

 

 


 

 

The Artist's Family, 1895/wikipedia

 

 

 

 

 

 

 

 

My wife and Daughters, 1896/Hungarinan National Gallery

 

 

 

 

 

그의 가족을 주제로 한 감동적인 내부 장면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스카겐 화파의 일원인 요한슨이 독특한 스타일과 주제를 드러내며, 그의 사적인 공간과 가족생활을 드러내는 중요한 기록입니다. 그는 자신의 아내인 마르타와 여섯 자녀를 자주 작품의 주제로 삼았으며, 가족과 일상생활의 모습을 세밀하게 그려냈습니다.

 

 

 

 

그의 화풍은 부드러운 색감과 섬세한 조명 효과로 유명하며, 이는 특히 그의 내부 장면에 잘 나타납니다.  가정의 일상적인 순간을 조명하고요. 작품 속에는 그의 아내와 자녀들이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상호작용하는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이 그림은 가족이라는 주제를 통해 인간애와 따뜻함을 전달하며, 당시 여성의 역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줍니다. 요한슨은 가족의 일상적인 활동을 통해 여성의 헌신과 기여를 세밀하게 묘사했습니다. 요한슨의 작품은 단순히 가족의 초상을 그린 것이 아니라 , 가족과 가정을 형성하는 중요한 관계의 본질을 탐구합니다. 그는 자신의 주위 세계를 섬세하게 관찰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사랑과 보살핌의 상징인 여성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고요. 이와 같은 여성의 힘은 그가 회화에서 독특한 방식으로 다룬 주제 중 하나입니다. 

 

 


 

 

 

 

Dragor seen from the West, 1895/ BoldBrush

 

 

 

 


 

 

An Artist's Gathering, 1903, National Museum/wikimedia Commons

 

 

 

 

 

 

" An Artist's Gathering 예술가의 모임"은 비고 요한슨의 작품으로, 파리에서 돌아온 후 요한센의 작품은 한층 밝아졌습니다. 다양한 예술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로의 창작 과정과 아이디어를 나누는 모습을 그렸습니다. 이 작품은 예술적 교류와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당시의 예술 문화와 사조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비고 요한슨( Viggo Johansen, 1851-1935)은 인상주의와 후기 인상주의의 요소를 접목하여 고유의 예술 세계를 구축하였으며, "예술가 모임"도 이러한 그의 스타일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입니다. 이 작품은 단순한 모임의 순간을 포착한 것이 아니라 , 예술가 간의 상호작용과 영감을 통한 창조의 과정을 상징합니다. 예술가들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이는 예술의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요한슨은 이러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으며, 이로 인해 작품은 더욱 깊은 의미를 갖게 됩니다. 이 작품은 예술 공동체의 소중함과 그들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Lamb's Head on a Plate, 1880, oil on canvas/Alamy

 

 

 

 

 

<Lamb's Head on a Plate>는 1880년에 제작된 작품으로, 당시 덴마크 회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정물화의 한 예로, 요리된 양의 머리가 담긴 접시를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주제는 일상생활의 요소들을 미학적으로 재구성하여 관객에게 감정적이고 시각적인 경험을 제공합니다.

 

 

 

 

상당히 사실적인 묘사를 특징으로 합니다. 작품은 조명의 효과와 명암의 대비를 통해 생동감을 주며, 관람자는 양의 머리와 주변의 색감과 질감들에서 배운 기술과 후에 영향을 받은 인상파의 색채 사용이 결합된 결과입니다. 

 

 

 

 

요한슨은 1880년대에 파리에서 인상파 화가들로부터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는 그가 사용하는 색조와 조명 처리에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그가 그린 정물화는 다시 한번 일상적인 물체들을 예술의 주제로 삼는 것을 보여줍니다. 작품은 또한 19세기말 덴마크 사회의 식문화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단순한 정물화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단순히 먹거리를 묘사하는 것에서 벗어나 생명과 죽음, 그리고 인간의 존재에 대한 깊은 성찰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요한슨의 작품들은 집안의 일상적인 장면들을 통해 관객이 잊고 있던 감정이나 기억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Boats in Skagen on Sonderstrand Beach, 1910/wikipeidia

 

 

 

 

 

 

 

먼바다에서 달려온 바닷물이 뭍에 가까워지자 몸을 뒤집고 하얗게 부서졌습니다. 주인이 떠난  배 두 척은 땅에 몸을 기대고 자신의 몸을 쓰다듬고 모래 언덕 위로 사라지는 바람에 몸을 맡겼습니다. 이따금 물결이 자신을 흔들기도 하지만 배는 조용히 노란 햇빛에 조금씩 물들고 있습니다. 

 

 

 


 

Double Portrait of Ingvar and Sven dressed in sailor's suits by the grand Piano, 1913/Reddit

 

 

 

 

이 이중 초상화는 두 명의 어린 소년, 잉바르와 스벤이 선원 복장을 하고 그랜드 피아노 옆에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복장 선택은 20세기 초 어린 시절의 순순함과 장난스러움을 암시하며, 요한센의 빛과 색을 다루는 능력을 잘 보여줍니다. 

 

 

 

 

완성되자마자 이 작품은 1913년 샬로텐보르크에서 열린 전시회에 포함되어 그 당시 미술 공동체 내에서의 중요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작품은 잉바르와 스벤의 가족, 특히 부서장 비고 아아게센(Viggo Aagesen)이 소유했던 것으로 문서화된 기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2018년 경매에서 DKK 40,000에 판매되면서 예술 시장에서의 지속적 가치와 인정을 보여주었습니다. 

 

 

 

작품에서 두 소년은 조용한 표정을 지으며 그랜드 피아노 옆에 자연스럽게 앉아 있습니다. 그들의 얼굴과 피아노의 반사 표면에 드리운 빛의 상호작용이 작품의 분위기를 더해주고 있습니다. 요한센의 기법은 종종 균형 잡힌 구도를 포함하며 주제의 사려 깊은 배열로 작품의 전체적인 조화를 기여합니다. 

 


 

 

 

 

 

 

 

Kitchen in Skagen with two Figures/ Bold Brush

 

 

 

비고 요한슨( Viggo Johansen, 1851-1935)의 작업은 주로 가족과 친구들이 등장하는 실내 장면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그의 그림은 여성들이 가정에서 수행하는 숨은 작업을 드러내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예를 들어, 그는 주방의 소녀와 같은 가족의 일상적인 순간들을 포착한 작품을 제작하였습니다. 

 

 

 


 

요한센은  존경받는 화가이자 당대 유명 화가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1890년대 가장 유명한 덴마크 화가 중 한 명이라는 평가도 받았고요. 그리고 1906년, 그는 졸업 시험에서 떨어져 끝내 자격증을 받지 못한 왕립 덴마크 미술 아카데미의 교수가 되어 1920년까지 학생들을 지도합니다. 여든넷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니 한 인간으로서의 삶도 좋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